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 버스 B0

덤프버전 :

||


파일:Sejong BRT B0 Outer circle line.jpg

1. 노선 정보
1.1. 자율주행 실증 노선(이용불가)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B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세종 바로타 B0 노선도.svg
기점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종점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내선순환[1]첫차05:36외선순환[2]첫차05:38
막차00:40막차00:40
배차간격10~12분 (1일 97회)[3]
운수사명세종도시교통공사운행대수10대[4]
노선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한솔동 - 새롬동·나성동 - 다정동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해밀동 - 한별동 - 누리동 - 다솜동 - 산학연클러스터 - 집현동 -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법원·검찰청·경찰청 - 소담동 - 시청,시의회,교육청,세무서 - 대평동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정류장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한누리대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3형 정류장(지하)B2
B1
B3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한솔동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새롬동·나성동1형 정류장×
다정동1형 정류장×
정부세종청사남측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북측1형 정류장×
도담동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
세종충남대학교병원1형 정류장
해밀동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해밀동
한별동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한별동
누리동3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누리동
다솜동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다솜동
산학연클러스터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집현동
집현동1형 정류장×
반곡동2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
국책연구단지1형 정류장×
법원·검찰청·경찰청3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
소담동3형 정류장B1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1형 정류장×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보람동·대평동2형 정류장×
대평동3형 정류장(지하)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3형 정류장(지하)B2
B1
B3

1.1. 자율주행 실증 노선(이용불가)[편집]


아래 노선은 자율협력주행기술 실증용 노선으로써, 실제로는 여객영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자율C1~2번
기점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종점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C2[5]첫차10:15C1[6]첫차10:00
막차15:45막차16:00
배차간격C1: 6회, C2: 3회
운수사명세종도시교통공사인가대수?대
노선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한솔동 - 새롬동.나성동 - 다정동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해밀리 - 한별리 - 누리리 - 다솜리 - 산학연클러스터 - 집현리 -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법원.검찰청 - 소담동 - 세종시청 - 대평동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2. 개요[편집]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바로타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6km, 표정속도는 39.4km/h이다.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대전시청주시천안시세종시
가장 빠른
첫차
1
05:25
511
05:17
1, 14
06:00
B2
05:00
가장 늦은
막차
B1
23:45
747
24:35
10
03:00
B0
24:40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세종특별자치시 BRT B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명)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1,109.49
2019년2,063.03△ 953.54
2020년2,214.66△ 151.63
2021년3,244.14△ 1,029.48
2022년4,008.97△ 764.83


4.2. 시간표[편집]


상하행 양방향 모두 해당 시간에 맞추어 동시 출발하며, 완전순환 개통 전 시간표는 147번째 리비전을 참고.
개선 이전 시간표는 172번째 리비전을 참고.

세종 버스 B0번 운행시간표
2021년 4월 1일 기준 / 출처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정부청사 방향 (내선)시청 방향 (외선)
첫차 05:36 / 막차 24:40 / 편도 97회첫차 05:38 / 막차 24:40 / 편도 97회
5시 36 485시38 50
6시00 12 24 36 486시02 14 26 38 50
7시00 12 20 30 40 507시02 14 22 32 42 52
8시00 10 20 30 40 508시02 12 22 32 42 52
9시00 10 24 36 489시02 12 26 38 50
10시00 12 24 36 4810시02 14 26 38 50
11시00 12 24 36 4811시02 14 26 38 50
12시00 12 24 36 4812시02 14 26 38 50
13시00 12 24 36 4813시02 14 26 38 50
14시00 12 24 36 4814시02 14 26 38 50
15시00 12 24 36 4815시02 14 26 38 50
16시00 12 24 36 4816시02 14 26 38 50
17시00 12 24 36 4817시02 14 26 38 50
18시00 12 20 30 40 5018시02 14 22 32 42 52
19시00 10 20 30 40 5019시02 12 22 32 42 52
20시00 10 24 36 4820시02 12 26 38 50
21시00 12 24 36 4821시02 14 26 38 50
22시00 12 24 36 4822시02 14 26 38 50
23시00 12 24 4823시02 14 26 50
24시04 4024시04 40
파란색으로 굵게 표시된 시간대는 지상 터미널 출발
[ 휴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정부청사 방향시청 방향
첫차 05:36 / 막차 24:40 / 편도 93회첫차 05:38 / 막차 24:40 / 편도 93회
5시 36 485시38 50
6시00 12 24 36 486시02 14 26 38 50
7시00 12 24 36 487시02 14 26 38 50
8시00 12 24 36 488시02 14 26 38 50
9시00 12 24 36 489시02 26 38 50
10시00 12 24 36 4810시02 14 26 38 50
11시00 12 24 36 4811시02 14 26 38 50
12시00 12 24 36 4812시02 14 26 38 50
13시00 12 24 36 4813시02 14 26 38 50
14시00 12 24 36 4814시02 14 26 38 50
15시00 12 24 36 4815시02 14 26 38 50
16시00 12 24 36 4816시02 14 26 38 50
17시00 12 24 36 4817시02 14 26 38 50
18시00 12 24 36 4818시02 14 26 38 50
19시00 12 24 36 4819시02 14 26 38 50
20시00 12 24 36 4820시02 14 26 38 50
21시00 12 24 36 4821시02 14 26 38 50
22시00 12 24 36 4822시02 14 26 38 50
23시00 12 24 4823시02 14 26 50
24시04 4024시04 40
파란색으로 굵게 표시된 시간대는 지상 터미널 출발

실제로는 도담동까지 신호체계느려터진 대전 버스로 인해 기존 정해진 10분보다 1~2분 늦게 들어오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다만 이는 누리리~반곡동 사이 단독구간에서 거의 다 따라잡는다.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4:46:26에 나무위키 세종 버스 B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부세종청사>누리동>세종시청, 시계 방향. 버스 LED 기준 'B0 종점'으로 표기하며, 도착 정보 안내판 기준 'B0(터미널)' 로 표기한다. [2] 세종시청>누리동>정부세종청사, 반시계 방향. 버스 LED 기준 'B0 순환' 으로 표기하며 도착 정보 안내판 기준 'B0(순환)' 으로 표기한다. [3] 지상정류장 발 내부순환행 39회, 지하정류장 발 내부순환행 9회(첫차 및 출퇴근 시간대만 운행), 지상정류장 발 터미널행 3회(막차 시간대만 운행), 지하정류장 발 터미널행 39회.[4] 외선순환(반시계방향): 5대, 내선순환(시계방향): 5대. 12대 중 2대 휴무[5] 정부세종청사>누리리>세종시청, 시계 방향[6] 세종시청>누리리>정부세종청사, 반시계 방향[7] 2013년도 제3차 시내버스 노선개편 알림(정부청사2단계, 대우푸르지오A 등), 2013-11-29, 세종특별자치시[8] 시내버스 노선개편 알림(2014.2월 시행), 2014-02-06, 세종특별자치시[9] 세종시 내부순환 BRT 노선 개통... 3일 첫 운행, 2018-02-02, 뉴시스[10] 세종시 내부순환 BRT 노선 개통, 2018-02-02, 뉴시스[11] 세종시 '광역버스 노선' 확대 요구, ‘4생활권’으로 확산, 2019-04-25, 세종포스트[12] 〔세종시 시문시답〕4생활권 교통계획 및 버스증설은?, 2019-04-25, 충청뉴스[13] 지하정류장으로 통합해버리면 내선순환 기지입고차량이 대평동에서 운행을 종료해야하고, 외선순환 운행시작하는 차량이 대평동에서 운행을 시작해야한다.[14] 이는 세종시 유튜브에 업로드된 BRT 소개 영상에서 한 시민이 건의한 것이 적용된 것이다.[15] 일렉시티 스펙 상 최고 속도이기도 하다.[16] 07:00~09:00, 17:00~19:00에는 모든 문으로 승차 가능.[17] 7:25착-7:30발 / 7:35착-7:40발 / 7:45착-7:50발[18] 라곤 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자주 탄다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19] 도착 정보 안내판 기준으로는 B0(터미널)이라고 써있다. [20]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순환 노선도 있지만 기지 입고를 위한 성수행, 신도림행이 존재하는 것과 유사.[21] 이전에는 B2번의 24:30 막차가 가장 늦었으나 2021년 4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B0번에 24:40 막차가 신설되면서 타이틀을 뺏어왔다.[22] 충청권 통틀어서는 천안 10번이 새벽 3시로 가장 막차가 늦다.